김명엽 (혜원여고 교사, 서울특별시교육청 대학진학지도지원단)
제시문 기반 면접은 지원자의 학업역량을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성이 강하다. 대표적으로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는 제시문 기반 면접을 실시한다. 제시문 기반 면접은 면접 대기실에서 제시문과 문제를 배부한 후 짧은 시간 제시문을 독해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해야 한다. 짧은 시간에 여러 개의 제시문을 읽고, 다수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므로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쎈(SEN)진학 나침판에서는 면접 기출 문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학별 선행학습 영향평가 보고서를 탑재하였다. 대학별 정보 – 대학 제공자료 메뉴로 들어가서 대학명을 검색하면 각 대학별로 제공하는 선행학습 영향평가 보고서 등 최대 11종의 대입 자료들을 한 눈에 확인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각 대학별 제시문 기반 면접의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다.
【 2024년 수시모집 제시문 기반 면접 대학별 평가 방법 】
예상 면접 질문 추출 시 고려할 점
대학명 |
전형명 |
제시문 기반 면접 평가 방법 |
고려대 |
학업우수 계열적합 |
- 제시문을 숙독하고 주어진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을 통해 지원자의 문제해결력 및 논리적・복합적 사고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지원자의 제출서류 등을 확인하기 위한 질문이 포함될 수 있음)
- 학업우수는 12분 준비, 6분 내외의 대면 면접(평가자 2인 이상), 계열적합은 21분 준비, 7분 내외의 대면 면접(평가자 2인 이상)
- 면접평가 세부 평가요소 및 반영비율
면접평가 세부 평가요소 및 반영비율
평가요소 |
비율 |
정의 |
분석력 |
20 |
제시문의 주제와 내용을 이해하고 제시문 사이의 연계성을 파악하는 능력 |
적용력 |
30 |
제시문에 나타난 정보를 주어진 문제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 |
종합적 사고력 |
40 |
주어진 정보를 논리적으로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
면접태도 |
10 |
의사표현 방식과 면접에 임하는 전반적인 태도의 적절성 |
|
서울대 |
일반 |
- 주어진 제시문과 질문을 바탕으로 면접관과 수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면접 및 구술고사 문항은 고등학교 정규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출제)
- 모집단위별 혹은 단과대별 평가 내용과 출제범위가 상이함
- 답변 준비시간은 30분 내외(인문, 자유전공학부) 혹은 45분 내외(자연)이며, 답변시간은 15분 내외
- 제시문을 활용하여, 지원자 1명을 대상으로 복수의 면접위원이 실시(제출서류를 참고하여 추가 질문을 할 수 있음)
|
연세대 |
추천형 활동우수 |
- 제시문을 바탕으로 대학 수학에 필요한 기본 학업역량을 평가
- 현장 비대면 녹화 면접(면접 당일 현장에서 녹화한 영상을 복수의 평가위원이 평가)
- 면접 준비 8분, 면접 답변 5분(최소 답변 녹화 시간은 2분이며, 최대 면접 녹화 시간이 5분을 넘길 경우 그 이후로는 녹화가 되지 않는 점에 유의해야 함)
- 추천형: 2023 대입 기출문제 기준으로 인문·통합계열의 문제는 4개의 제시문과 2개의 문제로 구성되었음. 문제 유형은 제시문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하는 유형, 제시된 조사 결과를 요약하고 다른 제시문을 바탕으로 그 결과를 설명하는 유형의 2문항으로 구성되었음. 반면 자연계열은 4개의 제시문과 3개의 문제로 구성되었음. 문제는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주어진 제시문에 담겨 있는 과학 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문제로 구성되었으며, 해석한 과학 원리를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융합적 사고력을 평가하고자 하였음.
- 활동우수: 2023 대입 기출문제를 기준으로 인문·통합계열은 4개의 제시문과 2개의 문제로 구성되었음. 자연계열은 5개의 제시문과 3개의 문제로 구성되었음. 전체적인 제시문 구성과 문제 유형은 추천형의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았음.
|
|